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경제공간/주식공간23

한국투자증권 예탁금 이용료, 지급 이자율 정리 한국투자증권을 포함한 증권사 예탁금은 주식 거래를 위해 위탁 계좌와 함께 CMA 계좌를 개설하고, 주식 매수를 위해 위탁 계좌에 일정 금액을 입금하게 됩니다. 주식 매수를 위해 증권 계좌에 입금해 놓은 돈을 고객예탁금이라고 하며, 증권사에서는 투자자로 부터 금융투자상품의 매매 등의 거래와 관련하여 예탁금을 이용하고 예탁금을 이용하는 이용료로 일정 비율의 이자율을 적용하여 이자를 지급하게 됩니다. 증권사의 고객 예탁금은 코스피와 코스닥, 해외주식 등을 매수하기 위한 대기자금으로, 고객 예탁금 잔고를 통해 주식 시작의 미래를 예측하는 척도로도 활용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고객예탁금이 점점 증가하는 추세인 경우에는 주식 매수를 위한 대기자금이 늘어나고, 그만큼 많은 사람들이 주식시장에 투자를 하겠다는 것으로.. 2022. 8. 19.
한국투자증권 이체와 송금 및 자동화기기(ATM) 수수료 정리 한국투자증권 주식회사(Korea Investment & Securities Co.,Ltd.)는 1974년 07월 16일 한국투자신탁이라는 자산운용사로 시작하여, 2000년 06월에 한국투자신탁증권으로 사명을 변경하고, 2000년 07월에 증권사로 전환한 이후 2006년 06월에 한국투자증권으로 사명을 변경, 2005년 06월에는 동원증권을 역병합하면서 대형 증권사로 성장하였습니다. 한국투자증권은 동원그룹의 금융사업 부분이 2003년 01월 11일 분리되어 설립 된 한국투자금융지주의 비상장 자회사로, 포스팅 작성일 기준으로, 최근에 불법공매도와 전산장애 등으로 논란의 중심에 있는 증권사이기도 합니다. 한국투자증권의 수수료는 고객등급별 서비스에 따라 골드 등급 이상은 면제가 되고, 프라임 등급 온라인 이체 .. 2022. 8. 13.
BNK투자증권 신용융자 보증금 및 위탁 증거금 정리 BNK금융그룹의 비상장 자회사인 BNK투자증권은 영업점이나 경남은행과 부산은행 지점에서 계좌를 개설하거나 온라인으로 비대면 계좌 계설을 통해서 주식과 채권 등을 거래할 수 있습니다. BNK투자증권 주식 거래 수수료는 지점과 은행 및 온라인 등 개설 방법과 영업점 창구나 ARS, PC환경의 HTS나 모바일 환경의 MTS 등 거래 방법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주식 매수대금이 부족한 경우에는 BNK투자증권과 약정을 통해 일정한 증거금을 유지한 후 주식을 매수할 때 매수대금의 50% ~ 97%까지 신용융자가 가능 합니다. BNK투자증권의 신용융자 약정등록은 온라인으로 PC환경의 HTS(QFIT)나 모바일 관경의 MTS(QFIT Smart)에서 '약관 및 설명서 승인 - 약정계좌 등록'을 한 후 '고객센터: 15.. 2022. 8. 12.
한국투자증권 VIP, 골드, 프라임, 패밀리 등급 기준 및 혜택 정리 한국투자증권(韓國投資證券, Korea Investment & Securities Co., Ltd.) 1974년 07월 16일 1974년 자산운용사로 시작한 한국투자신탁으로 시작하여, 2003년 01월 11일 동원그룹의 금융사업 부분이 분리되어 설립된 한국금융지주(071150)가 100%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비상장 증권사 입니다. 한국투자금융지주는 계열회사들이 모두 투자와 자산 관리 및 운용 중심의 사업 모델을 가지고 있는 국내 유일의 금융투자업 중심의 금융그룹으로, 은행업 중심의 다른 금융그룹들과는 차별성이 있으며, 투자매매업와 투자중개업, 집합투자업과 투자자문업, 투자일임업과 신탁업 등을 중심으로 사업을 영위한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한국투자증권은 영업점과 영업소, 금융센터와 영업부를 포함 88개 .. 2022. 8. 11.
BNK투자증권 주식 및 채권 수수료와 예탁금 이용료 정리 BNK투자증권(BNK Securities) 1997년 06월 02일 설립된 선물 회사인 부은선물로 시작하여 2009년 11월 증권업 인가와 함께 사명을 BS투자증권으로 변경하였고, 2011년 03월 15일 부산은행과 경남은행, BNK투자증권과 BNK자산운용, BNK벤처투자와 BNK캐피탈, BNK저축은행과 BNK신용정보, BNK시스템과부산 BNK 썸 등의 자회사를 두는 대한민국 최초의 지방은행 금융지주회사인 BNK금융그룹 출범 이후 2015년 03월에 주식회사 비엔케이투자증권으로 사명을 변경한 비상장 증권사 입니다. BNK투자증권 주식 수수료는 증권사 지점이나 경남은행과 부산은행 등 은행창구, 모바일 앱을 이용한 비대면 계좌 개설 및 오프라인 영업점 창구나 PC환경의 HTS 및 스마트폰 HTS 이용에 따라.. 2022. 8. 10.
삼성증권 일본 주식 거래 수수료 및 실시간 시세 이용료 정리 삼성증권의 해외주식 거래 서비스를 이용하면, 미국의 뉴욕거래소(NYSE)와 나스닥(NASDAQ), 중국 상해의 후강통과 심천의 선강퉁, 상해B와 심천B 및 홍콩, 영국과 독일, 프랑스와 스위스, 오스트리아와 벨기에, 네덜란드와 아일랜드 등 서유럽, 덴마크와 스웨덴, 핀란드와 노르웨이 등 북유럽, 이탈리아와 스페인, 포르투갈과 그리스 등 남유럼, 호주와 뉴질랜드, 싱가포르와 인도네시아, 태국과 베트남 및 대만 등의 아시아퍼시픽과 캐나다와 멕시토 등 미주 및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주식을 거래 할 수 있습니다. 일본 주식 시장은 대형주 위주의 1부와 중형주 위주의 2부 시장, 소형주 위주의 마더스(Mothers)와 자스닥(JASDAQ)의 스탠더드(Standard) 및 그로스(Growth) 등으로 구분이 되며, 개.. 2018. 11. 17.
중국주식 후강통 상해A 개장시간 및 수수료 정리 중국의 상해증권교역소(上海证券交易所: Shanghai Stock Exchange, SSE)는 미국의 뉴욕증권거래소(The New York Stock Exchange: NYSE)와 나스닥(Nasdaq OMX, Inc.), 일본의 동경증권취인소(東京証券取引所: Tokyo Stock Exchange, TSE)에 이은 세계 4위의 증권거래소로, 중화인민공화국 본토 내국인 전용 시장인 A시장과 외국인 전용 B시장으로 구분이 됩니다. 상하이증권거래소의 A시장은 중국 본토 내국인만 거래가 가능하였으나, 2014년 11월 17일 부터 상해와 홍콩증시 연계거래를 통해 외국인에게도 개방되었으며, 2015년 6월 22일 기준으로 595종목을 거래할 수 있는데, 인덱스펀드(ETF: Exchange Traded Fund) 등은.. 2018. 11. 14.
일본 주식의 거래단위와 상한가와 하한가 등 가격제한폭 정리 일본의 도쿄증권거래소(東京証券取引所: 동경증권취인소, Tokyo Stock Exchange: TSE)는 미국의 뉴욕증권거래소(The New York Stock Exchange: NYSE)와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NASDAQ)에 이어 시가총액 세계 3위의 증권거래소이자 유럽과 아시아 및 아프리카 등을 포함한 지역의 최대 증권 거래소 입니다. 도쿄와 마더스, 자스닥(JASDAQ)과 나고야, 후쿠오카 등의 거래소(도쿄거래소와 오사카거래소는 2013년 07월 15일에 합병되어 상장종목 전체가 도쿄거래소로 이동)를 운영하고 있으며, 엔화(JPN: ¥) 기준으로 거래단위는 1주당 가격에 따라 1엔 ~ 10만엔, 상한가와 하한가는 개별 종목의 주가에 따라 13% ~ 30%의 가격 제한폭이 다르게 적용 됩니다. *일본.. 2018. 11. 3.
중국주식 선강퉁 심천A 개장시간 및 수수료 정리 중국 선전 증권거래소(深圳证券交易所: Shenzhen Stock Exchange, SZSE)는 하이테크산업의 성장형 기업을 대상으로 1990년 12월 1일 중화인민공화국 선전경제특구에 설립되어 1991년 7월에 정식 영업을 시작하였으며, 선전A 주식은 인민폐인 위안화(CNY)를 이용하여 중화인민공화국 내국인만 거래가 가능 합니다. 외국인이 거래 및 투자가 불가능한 중국 본토 심천 증권거래소의 주식은 선강퉁 제도를 이용하여 신천거래소와 홍콩거래소간 거래 및 결제를 연동하여 거래할 수 있으며, 중국 본토와 외국인을 포함한 홍콩의 투자자들은 현지 거래소를 통해 상대방 거래소에 상장되어 있는 주식을 매매할 수 있습니다. *중국주식 선강퉁 심천A 개장시간 중국 증권거래소 심천A 개장시간은 중국 현지기준으로 오전 .. 2018. 11. 2.
한국투자증권 해외ETP 및 해외변동성ETN 거래절차 변경 증권사의 상장지수상품(ETP: Exchange Traded Product) 중 상장지수증권(ETN: Exchange Traded Note)는 원자재와 통화금리 변동성 등을 기초자산으로 자산의 성과에 따라 만기에 수익을 지급하는 상품이고, 상장지수펀드(ETF: Exchange Traded Fund)는 인덱스펀드를 거래소에 상장시켜 투자자들이 주식처럼 거래할 수 있도록 만든 상품 입니다. ETF 및 ETN 등의 해외금융상품 중 해외 거래소 시장에 상장되어 거래되는 변동성 상장지수증권(ETN)은 변동성에 기반한 '변동성 선물지수'를 기초지수로 추적하는 상장지수증권으로, 거래의 안정성을 위해 한국투자증권에서는 2018년 11월 26일 월요일 부터 미신청계좌 및 투자성향 등 투자정보 부적합고객은 매매가 제한 됩니.. 2018. 11. 1.
반응형